- Today
- 1,053
- Total
- 42,196,998
목록NDS (12)
로그인 유지가 안 돼서 구독하기와 댓글 쓰기가 안 된다면 이곳(1차 주소)에서 해보세요. [관련 티스토리 공지]
NEOEARLY* by 라디오키즈
인터넷을 돌아다니다보면 실제로는 출시된 적이 없는 제품의 디자인을 만날때가 있다. 가끔은 개발 중에 사라진 비운의 제품을 만나기도 하지만 대다수는 제조사와는 상관없이 자신이 생각하는 제품의 비전이나 꿈을 담은 콘셉트 디자인일때가 더 많은데... 사진 속 작은 단말도 그런 콘셉트 이미지 중 하나다. 이 콘셉트 이미지를 선보이는 이는 E3에서 선보일 새로운 NDS라며 지난 만우절에 사람들을 낚을 의도로 제작했다고 밝혔지만 꽤 공을 들여 만들었다는 건 부정하기 어렵다. 그래서 이 디자인에 대해서는 얼마전 닌텐도가 무안경식 3D 게임기인 3DS를 선보이겠다는 발표가 있은 후 자신이 꿈꾸고 바라왔던 바를 녹여낸 것이라고 봐주면 될 것 같다. 닌텐도의 디자인 철학과는 그리 가깝지 않아 보이니 실물을 만날 가능성은 ..
비디오 게임. 흔히 콘솔 게임이라고도 부르는 가정용 게임기 시장은 소니, 마이크로소프트, 닌텐도 등 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대형 메이커들의 경쟁으로 늘 뜨겁게 불타오르고 있는데... 최근 Onlineeducation.net이 정리 발표한 자료를 보면 이들의 경쟁과 그 승자가 누구인지 가늠해볼 수 있다. 미국의 비디오 게이머들은... 우선은 미국에서 비디오 게임을 즐기는 사람들을 분류해보면 전체 가구의 65%는 비디오 게임을 즐기고 있으며 40%가 여성 게이머로 그 비율이 그리 적지 않은 느낌이다. 나이대는 코어라고 생각했던 18세 이하의 십대 게이머는 25% 정도고 18~49세에 이르는 넓은 연령대가 49%, 그리고 다소 의외지만 50대 이상도 26%나 될정도로 전연령대에 걸쳐 비디오 게임을 즐기고 있다는..
아이폰에만 그들의 앱스토어에서 판매하고 있는 것 만큼이나 많은 주변기기가 있다. 케이스부터 스피커, 확장형 주변기기까지 그 종류도 많은데 혹시 아이폰에만 그런 전용 아이템이 있다고 생각했다면 이 제품은 어떨까... 사진 속 모델은 아이폰의 경쟁자라는 닌텐도 DSi용 액세서리 그것도 스피커다. DSi에 웬 스피커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지만 판매측에서는 DSi가 음악 플레이어로서의 기능도 충실하기 때문에 DSi 자체의 약한 음질을 보강해 준다는게 이 제품의 핵심이다. 그래봐야 4W급(2W x 2)의 출력이긴 하지만...^^;; 재밌게도 디자인은 DSi를 더 크게 만들어 둔 것 같은 느낌. 이렇게 스피커 본체에 DSi를 넣고 접으면 좀 더 큰 DSi를 가지고 다니는 느낌이다. DS LL 등과 크기 차이가 얼마나..
일본의 닌텐도. 승승장구하던 전설적인 게임 기업 닌텐도가 최근 적자를 기록하면서 떠들썩했다. 닌텐도 Wii의 판매 부진과 후속 타이틀의 열세, 엔고가 이번 적자를 불러왔다는데... NDS도 판매 부진은 마찬가지였나보다. 이런 시장의 분위기를 전환하기 위해 닌텐도가 내놓은 해법은 일단 신규 게임들의 출시와 함께 신형 DSi였다. DSi LL이란 이름으로 등장한 이 모델은 4.2인치로 화면 크기를 키웠다. 화면이 커진 만큼 크기도 커졌고 무게도 무거워졌는데 화면 크기는 PSP의 그것과 비슷한 수준이다. 그렇지만 화면은 커졌으되 해상도는 그대로이고 카메라도 DSi때의 30만 화소를 유지하고 있다는 건 아쉬운 부분이다. -_- 단순히 화면만 크면된다 정도로 접근한 건지 아니면 해상도 등 세부적인 걸 다 건드렸을..
닌텐도의 휴대용 게임기 NDS의 폭발적인 인기와 비례해(?) 난립했던 게 정품 팩을 구입하지 않아도 인터넷에 떠다니는 ROM을 메모리 카드에 담아 NDS에서 실행할 수 있었던 소위 닥터류의 불법 메모리 카드였다. 덕분에 NDS는 하드웨어는 잘 팔리지만 게임 타이틀은 안팔리는 게임기로 낙인찍혀야 했고 부랴부랴 닌텐도가 그들을 제소하고 정식으로 대응하면서 국내 외에서 조금씩 사라지는(음성화되는) 과정을 겪었다. 하지만 그들이 사라진 것은 아니었으니 닌텐도가 신형 게임기인 DSi를 선보이자 기다렸다는 듯 이에 대응하는 닥터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최초라는 타이틀을 달고... Acekard2 i 정식 명칭은 Acekard2 i지만 약칭 AK2i로 더 많이 알려진 이 제품은 중국의 Acekard가 내놓고 있는 ..
전자제품 수리와 업그레이드 등을 전문적으로 해준다는 TechRestore라는 업체가 미국 현지에 출시된 닌텐도의 DSi를 분해하는 영상을 올렸다. 더 눈길을 끄는 건 이 영상이 1,300장의 사진을 모아 만든 스톱모션이라는 것. Nintendo DSi Disassembly라는 제목의 이 영상은 그 기저에는 전자제품 수리 전문인 자신들의 홍보라는 원대한 목적이 깔려있지만 그런 시각을 살짝 걷어내면 전문가들의 손길로 깔끔하고 낱낱이 분해했다가 재조립되는 DSi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포장 박스부터 시작된 분해 여행은 간단한 구성품 소개부터 본체의 분해로 이어지는데 그냥 보고 있는 것 만으로도 DSi의 특징이 느껴질 정도다. 이미 DSi의 내부에 어떤 부품이 들어가는 지는 웹서핑 중 발견한 사진으로 대충 ..
Linux 기반의 오픈 소스 휴대용 콘솔 게임기 Pandora. 오픈 소스 콘솔 게임기라는 독특한 콘셉트와 휴대용이라는 특징이 여러가지로 눈길을 끄는데 NDS와 거의 비슷한 크기를 갖고 있다는 Pandora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 프로세서 : ARM Cortex-A8 CPU - 디스플레이 : 4.3인치(800x480) 터치 스크린 - 운영체제 : Linux - 무선랜 : 802.11b/g - 외장 메모리 : 듀얼 SDHC 카드 슬롯 - 기타 : OpenGL 2.0 ES 규격 준수, 듀얼 아날로그 스틱, QWERTY 키보드 TV 아웃, USB Host 지원 등 2008년 4~5월 쯤 개발자 버전이 공개되고 6~7월쯤 일반 사용자 대상으로 판매할 예정이라고 하는데 영국, 미국, 독일, 터키 등에서 우선 ..
스와로브스키(Swarovski)... 그다지 패션에 관심이 많은 패셔니스타도 아니고 악세사리에 관심이 많은 것도 아니지만 최근 종종 스와로브스키의 크리스탈을 포인트로 한 제품들을 만나게 된다. 고소득에 소비시장까지 선도하는 여성의 숫자가 늘기 때문일까? 아니면 성능 경쟁에 이은 디자인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싶은 탓일까? 반짝이는 크리스탈로 무장하고 소비자를 유혹하는 제품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크리스탈을 채용하면서 그들만의 포인트를 강조하는 제품들은 크게 2가지 형태로 만들어진다. 하나는 제품 출시부터 크리스탈을 채용하여 그 가치를 높이려는 시도를 제작사가 하는 형태와 제품 출시 이후에 사용자들의 적극적 튜닝 혹은 부가가치를 높이려는 업체들의 노력의 결과이 반영된 형태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그런 두가지..
발단... PSP에도 DMB를...? 사실 PSP에서 DMB 서비스를 만날 수 있으리라는 기대는 이미 지난 2005년부터 쭉 해왔던 부분이다. 지난 2005년 KOBA에서 Sony의 자회사인 PSNC측에서 PSP에 DMB 기능을 탑재하겠다는 이야기를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후 PSP에 DMB 기능이 들어간다는 공식적인 발표 등은 들려오지 않았고 지상파DMB, 위성DMB 등이 상용화를 시작한 지 한참이 흘렀지만 더 이상의 상세한 소식은 전해지질 않았다. 덕분에 더 이상 PSP에서의 DMB 기능 추가에 관심을 가지는 이용자도 적어진게 사실이다. 더욱이 PSNC의 인터뷰가 이뤄진 시점인 지난해 5월이 PSP의 국내 발매 시기와 맞아떨어진다는 측면에서 보면 실제 PSP용 DMB 서비스의 조속한 상용화보다는 초..
언론을 통해 보도된 내용을 살펴보니 닌텐도가 7월 7일 국내에 지사를 설립하기로 했다고 한다. Nintendo of Korea가 정식 사명이 될거라고 하며 이로써 Sony와 Microsoft에 닌텐도까지 3사가 모두 국내 시장을 놓고 정면 대결해 나갈 것 같다. 사실 그간 대원씨아이를 통해 유통된 닌텐도의 게임기와 게임에 대해서는 말들이 많았다. 게임이나 게임기 자체에 대한 불만보다는 단순 수입에 그치는 대원씨아이의 유통 방식이 구매자들의 마음에 들지 않았던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일본어라는 장벽이 존재하는 타이틀을 유통하면서 한글화 등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으니 어떻게 구매자들의 마음을 쉽사리 흔들 수 있었겠는가. 물론 Sony와 Microsoft의 게임들이라고 100% 한글화 등을 지원하는 것은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