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400
- Total
- 42,186,561
목록아마존 (28)
로그인 유지가 안 돼서 구독하기와 댓글 쓰기가 안 된다면 이곳(1차 주소)에서 해보세요. [관련 티스토리 공지]
NEOEARLY* by 라디오키즈

아마존(Amazon)이라고 하면 세계 최대의 전자상거래 업체로만 생각하시는 분도 계시지만, 아마존은 이미 클라우드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 중인데요. 식욕 역시 만만찮아서 기업을 인수해서 새로운 분야에 진출하려는 노력 역시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그렇게 아마존이 올해 인수한 기업 중 하나가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한 죽스(ZOOX)인데요. 아마존에 합류한 이후 죽스가 첫 번째 자율주행 차량을 선보였습니다. 아마존이 인수한 자율주행 스타트업이 선보인 첫 번째 로보택시... 죽스... 주변 상황을 인식하기 위해 카메라는 물론 라이다(Lidar)와 레이더 등을 장착해 네 귀퉁이에서 270도의 시야를 확보하고 사각을 제거해 안전을 확보한 건 기본. 스스로 달리며 사람들을 실어나르는 완전 자율주행 모델을 지향..

수익을 위해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분들 중에 대중의 관심 키워드에 맞춰서 콘텐츠를 만드는 분들이 계시더군요. 검색이 많이 일어나는 키워드 중심으로 글을 써서 검색 유입을 늘리고 광고 클릭을 늘리려는 걸 텐데... 보통은 실시간 인기 검색어를 따라다니며 글을 쓰거나 검색이 많이 되는 키워드를 찾아주는 사이트의 정보를 참고해 글을 작성하시는 거죠. 요 방법이 얼마나 효과가 좋은지는 그렇게 따라 해 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꾸준히 그런 패턴으로 글을 쓰시는 분들이 있는 걸 보면 효과가 없지는 않은 것 같더군요.@_@^ 미국인의 66%는 아마존에서 검색으로 쇼핑을 시작한다던데... 많이 검색한 키워드는... 그렇게 대중의 관심이 쏠리는 인기 키워드로 글을 쓰시는 분들에게 이번 글은 꽤 흥미로운 주제일지도 모르겠습..

중국에 필적하는 넓은 내수 시장으로 아직은 저가 위주 시장이 자리 잡고 있지만, 미래가 기대되는 나라가 인구 13억 명의 대국 인도인데요. 그렇게 큰 잠재력을 갖고 있는 시장인 만큼 전 세계의 기업들이 나름의 전략으로 공략 중이죠. 예컨대 샤오미나 삼성전자는 저가 스마트폰을 적극적으로 공급하고 있고 지금 소개하려는 아마존(amazon) 역시 가성비 모델 전략을 내세우며 인도 시장 공략을 이어갈 듯하더군요. 아. 그런데 아마존이 직접 내놓은 첫 스마트 TV들이 인도 시장에서 첫선을 보였습니다... 일단 미국 등 다른 곳에선 내놓지 않았던 첫 TV를 아마존 베이직(amazonbasics)이라는 브랜드로 인도에 출시했거든요. 50인치와 55인치로 출시된 아마존 베이직 TV들은 아마존 알렉사와 파이어OS(Fir..

세계 최대의 전자상거래 업체라는 수식어 만으로는 부족한 미국의 아마존(Amazon). 창업주 제프 베조스를 세계 최고의 부자로 만든 그 회사, 미국 전체 시장의 소매 매출 4.6%를 차지한다는 회사 아마존은 초기부터 주력이었던 온라인 쇼핑몰 외에도 다양한 사업을 전개 중인데요. 전자상거래, 아마존 웹서비스, 구독 등 아마존의 사업 부문별 순 매출 규모는... 아마존이 어떤 사업을 전개하고 있고 각 사업 부문별로 순매출은 어느 정도 수준인지. 그들과 경쟁하고 있는 업체는 어딘지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있는지 궁금했다면 VISUAL CAPITALIST의 인포그래픽을 살펴보세요. 이 인포그래픽에는 2019년 6월부터 2020년까지의 매출을 기준으로 아마존이 하고 있는 온라인 스토어와 아마존 웹서비스, 타사 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스마트폰의 뒤를 이어 새로운 블루오션이 될 걸로 보였을 당시 스마트 워치 외에 주목받았던 아이템이 스마트 글라스였죠.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들이 늘 착용하는 안경들처럼 일상생활의 대부분을 함께 하다 보니 경쟁력이 있을 거라고 생각했지만, 현재까지 스마트 글라스는 제대로 자리를 잡진 못하고 있습니다. 초반엔 카메라, 마이크가 내장되어 있어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가 발목을 잡았고 현재는 제한적인 상품성으로 산업 현장 등에서만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게 일반적인데요. 대중화에 한발짝 더 나아간 아마존 2세대 에코 프레임, 하지만 상품성은... 인공지능 음성 비서인 아마존 알렉사(Amazon Alexa)를 필두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 아마존(Amazon)의 새 스마트 글라스는 대중화에 성공..

어렸을 때 상상했던 미래의 집에는 그런 게 있었습니다. 집에 사는 사람들을 따라다니며 도와주는 로봇. 아직 그런 상상에 완전히 도달하진 못했지만, 인공지능 음성 비서를 품은 스마트 스피커를 비롯한 제품들이 조금씩 가정 안으로 밀려들기 시작했는데요. 이미 잘 쓰고 계실지도 모르겠지만, 아직 국내에서 상대적으로 이용자가 많지 않지만, 미국에선 스마트 스피커 시장을 리딩 하는 아마존(amazon)이 흥미로운 제품을 선보였습니다.^^ 사용자의 움직임을 추적하며 눈을 맞춰줄 아마존의 3세대 에코 쇼 10... 주인공은 10.1인치 HD 터치 스크린을 품은 스마트 스피커 3세대 에코 쇼 10(Echo Show 10 3rd Gen)입니다. 알렉사(Alexa)를 이용해 음성으로 명령을 내리는 것 말고도 1,300만 화..

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구글 등 미국에 뿌리를 두고 전 세계를 호령하는 테크 기업들. 소위 빅 테크라 부르는 이 기업들에 대해 최근 미국 내에서도 점점 독과점 이슈가 커지고 있죠. 스스로도 워낙 거대해져서 관련 시장을 흔들고 있지만, 짬짜미까지 동원해 다른 회사의 성장을 막고 경쟁을 어렵게 만든다는 이유로(대선을 앞두고 각 당의 정치적인 목적도 없지는 않아 보이지만) 기업 분리 등 독과점 규제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건데요. 미국의 거대 IT 기업들 만큼 잘 나갈 거라는(?) 온라인 도박 산업의 미래... 이 인포그래픽은 아마존과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시장을 지배하는 IT 플레이어들 위에서 더 큰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핀테크와 온라인 도박 산업의 규모를 숫자로 표현하고 있..

세계 최대의 전자상거래 업체이자 탐욕적인 시장 포식자로 맹활약 중인 아마존(amazon). 그들이 홈 CCTV 카메라, 와이파이 초인종 등 다양한 스마트홈 기기를 만드는 링(ring)을 인수한 게 2018년이었는데요. 이후에 크고 작은 사고들이 있었지만, 아마존의 자산이 되어 링은 다양한 홈 시큐리티 시스템 등을 선보여 왔는데요. 얼마 전에 링이 선보인 드론형 보안 카메라 링 올웨이즈 홈 캠(Ring Always Home Cam)은 좀 더 흥미로운 녀석이었습니다. 누군가 침입하면 알아서 날아올라 침입자를 찍어줄 드론형 보안 카메라... 평소엔 조용히 스테이션에 안착되어 있다가 누군가 집에 침입 헸다고 인지하면 드론이 날아올라 카메라로 집안을 풀 HD 동영상으로 촬영해 집주인에게 전달할 수 있고 원격으로 ..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해 많은 나라가 적잖은 타격을 받고 있지만, 그런 외부 상황과는 상관없다는 듯 미국 경제가 잘 나가면서 미국 기업 그중에서도 IT 기업들의 주가가 고공행진 중인데요. 실제 매출도 엄청나지만, 가능성에 대한 가치를 인정받아 높은 주가를 자랑하는 그들이 어떻게 돈을 벌고 있는지 생각해 보신 적 있으세요? 미국의 5대 IT 기업 애플,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의 수익 구조... 사업 분야에 조금씩 차이가 있어서 기업마다 상황은 다르지만, 공통점도 꽤 많은 미국의 거대 IT 기업들. 그들이 어떻게 매출을 내는지 함께 살펴보시죠. 2018년 기준이라서 현재와는 또 약간 변화가 있겠지만, 큰 틀은 달라지지 않았으니 각 기업이 어떻게 매출을 내고 있는지 확인..

많은 기업들이 관심을 가진 것에 비해 지지부진한 건 비단 우리만의 문제는 아니지만, 와이파이 보급도 LTE부터 5G까지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넓고 쾌적한 네트워크 환경을 구현한 우리나라지만, 네트워크와 IoT를 엮어 집 안팎을 관리하는 스마트홈 사업은 지지부진한 느낌이죠. 이렇게 스마트홈이 지지부진한 건 아직 표준이 통일화되지 못해서 그런 게 아닐까 싶은데요. 일부 메이저 기업들이 시장을 이끌어 보고자 하지만, 자신들과 다른 생태계를 추구하는 회사의 제품과는 제대로 연결되지 않다 보니 제품 선택부터 연결까지 스마트홈을 구축하는 전 과정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 더뎠던 스마트홈 생태계를 자극해줄 구글, 아마존, 애플, 지그비 연합의 맞손... 구글(Google), 아마존(Amazon), 애플(Apple)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