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400
- Total
- 42,186,561
목록N* Tech/Science (862)
로그인 유지가 안 돼서 구독하기와 댓글 쓰기가 안 된다면 이곳(1차 주소)에서 해보세요. [관련 티스토리 공지]
NEOEARLY* by 라디오키즈

나는 우리 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내가 남의 침략에 가슴이 아팠으니 내 나라가 남을 침략하는 것을 원치 아니한다. 우리의 부력(富力)은 우리의 생활을 풍족히 할 만하고, 우리의 강력(强力)은 남의 침략을 막을 만하면 족하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겠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와 세계를 지켜낼 첨단 국방력을 만난 특별한 전시회 이야기... 이 글은 백범 김구 선생님이 쓴 나의 소원의 일부입니다. 방탄소년단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선한 영향력을 끼치기 시작하면서 새삼 주목받고 있는 글인데요. 저도 우리나라가 무력으로 타국을 침략하거나 괴..

기후 위협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각국 정부 역시 적극적으로 친환경에 관심을 보이면서 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들이 전기차와 수소연료전기차 등 친환경 모델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데요. 이런 흐름에 맞춰 자동차 제조사들의 콘셉트카 경쟁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그리며 대중에게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화기 위한 포석일 텐데요. 상용화 가능성이 0에 가까워서 더 흥미로운 전기 미니밴, 포르쉐 비전 렌디엔스트... 이번에 소개할 모델은 포르쉐(Porsche)가 선보인 전기 미니밴 콘셉트카입니다. 하지만, 실제 출시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지는 않네요. 콘셉트카 자체가 실제 상용 모델이 될 때는 많은 부분이 달라지지만. 포르쉐 비전 렌디엔스트(Porsche Vision Renndienst)는 다른..

현대자동차, 우버 등 많은 업체가 자율주행 자동차와 함께 도로 위를 달리는 익숙한 자동차 대신 하늘을 나는 자동차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죠. 조금씩 지향점은 다르겠지만, 대체로 드론 형태와 닮은 디자인을 하고 있는데요. 드론이 주목받기 이전에 하늘을 나는 자동차는 진짜 전형적인 자동차에 날개가 튀어나오는 트랜스포머 같은 디자인을 하고 있었습니다. 드론 형태 대신 진짜 날개를 접었다 펼치는 변신 비행차, 에어카 V5... 슬로바키아에 기반한 클라인 비전(Klein Vision)이 개발 중인 에어카 V5(AirCar V5)라는 모델처럼이요. 평소에는 도로 위를 달리다가 3분 내에 하늘로 날아오를 수 있는 비행기로 변신하는 이 차량은 2인승으로 200kg까지 실을 수 있다고 하는데요. 본체 안에 접..

160억 개의 트랜지스터, 8개의 코어와 8개의 코어를 가진 GPU, 16 코어의 뉴럴 엔진. 애플(Apple)이 실리콘 맥이라고 불렸던 ARM 기반 맥 플랫폼의 변화를 가져올 M1칩을 발표했습니다. M1칩은 공개와 함께 역대급 성능을 보여줄 거라는 기대로 벌써부터 관심이 높은데요. 국내는 아직 맥 사용자가 많지 않은 편이라서 시장에 끼치는 파급력이 상대적으로 적겠지만, 인텔 CPU를 사용하는 현재의 맥과는 달라질 부분이 적지 않아 사용자들도 마음의 준비를 해야 할 걸로 보입니다. 최소한 부트캠프나 패러럴즈 등을 통해 윈도우를 돌릴 수 있었던 지금의 사용성을 유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니까요. 기대 이상의 퍼포먼스와 전성비를 보여줄 애플 M1칩, 변화는 시작됐다... M1칩은 오직 맥을 위한 프로세서로 ..

인공지능 하면 현재보다 미래가 더 기대되는 기술이라고 인식되는 탓에 기술 자체의 역사가 그리 길지 않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때 인공지능이란 개념이 있었을까 싶은 무려 1950년대부터 초기 연구가 시작됐을 정도로 역사가 깊습니다. SF 영화에서 등장하는 것처럼 인간을 뛰어넘으려는 인공지능이 아니라 인간을 모방하는 기계를 만들기 위한 연구에서 시작됐거든요. 그리고 시간이 흘러 1980년대에는 정형화된 패턴 안에서 답을 찾아주는 전문가 시스템이 각광 받았고, 2000년대엔 빅데이터를 스스로 분석해 답을 찾아내는 머신러닝이 주목받았죠. 2010년부터는 인간의 뇌세포와 유사한 형태인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딥러닝이 인공지능을 한 단계 더 높은 곳으로 끌어올릴 기술로 주목받고 있고요. 가전제품에 적용된 인공지능..

태풍이나 지진, 산불 같은 자연재해를 한 번 경험할 때마다 대자연 앞에 초라해지는 인간의 모습을 발견하게 되죠. 이용의 대상으로만 보던 자연이 보내는 경고에 움찔을 넘어 절망을 경험하기도 하고요. 그래서 우리는 갑작스럽게 찾아오는 자연재해를 우려 섞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재발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그 순간을 기록하곤 하는데요. 미국에서 자연재해로 가장 많은 고통을 받은 도시는 과연 어디 일까요? RoofClaim이 정리한 이 인포그래픽은 자연 재해로 가장 많이 고통을 받는 미국의 도시 25곳을 정리해두고 있는데요. 1953년 이후 발생한 태풍, 화재, 홍수, 허리케인, 토네이도, 지진 등 미국의 각 도시가 겪은 무시무시한 자연재해가 총망라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보다 훨씬 넓은 땅덩어리인 만큼 규모가 만만치..

부자들의 사치스러운 취미로 알려졌지만, 그만큼 적잖은 이들이 동경하는 취미인 요트. 바다 위를 누비는 하얀 요트는 그렇게 로망이 됐는데, 이왕에 로망이라면 이런 친환경 요트들이 많은 이들의 로망이 되어 바다 위를 누비면 좋겠네요. 태양광으로 직접 전기를 만들어 바다 위를 누빌 지속 가능한 친환경 요트... 지속 가능한 요트를 제안해온 소엘 요트(Soel Yacht)가 선보인 소엘 센스 48(Soel Sense 48)은 태양광 패널을 요트 지붕에 설치해 에너지를 얻어 물 위를 달릴 수 있게 했는데요. 이름처럼 48피트(14.5m)의 크기를 가진 이 전기 요트는 최대 18노트의 속도로 최대 56해리까지 달릴 수 있다고 하더군요. 쌍동선 형태로 한꺼번에 8명까지 승선할 수 있고 보통의 요트가 그렇듯 그 안에서..

할리 데이비슨(Harley-Davidson)을 떠올리면 특유의 사운드를 뿜어내는 모터 사이클이 먼저 떠오르시겠지만, 전기 모터 사이클을 넘어 대중이 관심을 갖는 전기 자전거에도 관심이 있었던 모양인지 시리얼 1(Serial 1)이라는 전기 자전거를 준비 중이더군요. 몇 가지 프로토 타입 경쟁에서 승리해(?) 내년 3월께 출시될 시리얼 1은 전통적인 자전거와 닮은 클래식한 디자인을 하고 있습니다. 통통한 하얀색 타이어와 검은색 프레임, 갈색 가죽 시트와 페달까지 트렌디하지 않아서 더 트렌디한 느낌이랄까요? 할리 데이비슨이 준비 중이라는 그들의 첫 번째 전기 자전거, 시리얼 1... 시리얼 1에 대한 상세한 정보나 가격 등은 11월 16일 있을 공식 발표 때나 나올 테지만, 할리 데이비슨 산하의 시리얼 1 ..

멀리서 보면 푸르게 보이는 바다지만, 막상 바닷가에 가보면 사람들이 버린 쓰레기로 눈살을 찌푸려 보신 경험 다들 갖고 계시죠? 해안의 쓰레기도 문제지만, 먼바다나 깊은 바다에도 인간이 만든 쓰레기, 특히 플라스틱 쓰레기가 너무 많아져서 환경과 건강 모두를 위협하고 있는데요. 태평양 한복판의 거대한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재활용해 만든 선글라스... 바다에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양에 비하면 새발의 피지만, 최근엔 그렇게 바다의 플라스틱 쓰레기를 적극적으로 재활용하려는 움직임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스위스의 산업 디자이너 이브 베하(Yves Béhar)가 디 오션 클린업(The Ocean Cleanup)과 손잡고 태평양 거대 쓰레기 지대(Great Pacific Garbage Patch)에서 수거한 해양 플..

외계인의 존재를 믿었던 칼 세이건은 자신의 책에 이 넓은 우주에 인간만 있다면 그건 공간의 낭비라는 표현으로 그 끝을 가늠하기 힘든 우주의 어딘가에는 인간 외에도 생명체가 있을 거라는 기대를 담았었는데요. 1996년 그가 세상을 떠나고 인류는 우주 탐사를 이어가고 있지만, 아직 외계 생명체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종종 UFO가 목격했다는 주장이 전해지며 외계인의 존재를 믿는 사람들의 관심과 그런 막연한 기대 대신 과학적인 시선으로 우주를 연구하는 이들이 노력이 이어지고 있음에도요. 지구를 벗어난 광활한 우주에서 왜 인류는 외계 생명체를 찾아내지 못한 걸까... 왜 그렇게 외계인을 찾기 어려운 걸까요? Futurism이 인류가 외계인을 찾지 못하고 있는 이유를 몇 가지 과학적인 분석을 담아 인포그래픽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