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N* Tech/IT Service (1167)
NEOEARLY* by 라디오키즈

우리나라에선 상대적으로 인기나 활용도가 덜한 것 같지만,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인수한 후에 안정적으로 순항 중인 비즈니스 특화 SNS 링크드인(LinkedIn). 특히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사람이나 일자리를 제안하는 이들이 링크드인을 많이 사용하고 있어 취업이나 이직 특화 SNS라는 느낌도 있는데요. 6억 명 이상이 사용하는 비즈니스 특화 SNS 링크드인을 사업의 장으로... Headway Capital이 정리한 이 인포그래픽은 6억 명 이상이 사용 중인 링크드인을 활용해 사업을 펼치면 좋을 이유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더군요. 구직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게 가장 일반적이긴 하지만, 결국 사람들이 연결되어 있는 거대한 공간이니 사람과 사람을 넘어 사람과 비즈니스를 연결하기에도 유용하다는 건데..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이 젊은 층에게 특히 인기를 끌면서 동영상은 가장 강력한 마케팅 언어가 되었습니다. 요즘은 어떤 마케팅에서든 동영상이 빠지지 않고 있고, 동영상 마케팅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은데요.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동영상 마케팅, 그 효과를 증명하는 통계들... Hyperfine Media가 정리한 이 인포그래픽은 그런 동영상 마케팅에 대한 다양한 통계와 관련 정보를 담고 있는데요. 누가 어떻게 동영상을 보고 있고, 동영상을 시청한 사용자들은 어떻게 반영하는지 또 어떤 동영상 콘텐츠에 관심을 갖는지 등 꽤 다양한 정보를 소개하고 있어서 동영상 마케팅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가볍게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Infographic - 31 Must Know Video Marketin..

에어비앤비나 우버 같은 서비스들은 공유 경제라는 이름으로 등장했지만, 다양한 분야로 파생되면서 이제는 긱 이코노미(Gig Economy)라는 이름으로 부르는 게 더 자연스러워진 느낌인데요. 필요할 때 잠깐 모여서 연주해주던 연주자에서 따온 긱(Gig)이란 이름처럼 늘 어떤 회사에 소속된 직원이 아니라 필요할 때 노동력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에 따라 수익을 얻는 새로운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기존 산업과의 충돌은 물론 불안정한 신분이나 낮은 수익에 대한 경계도 없는 건 아니지만, 스타트업들이 잇달아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이며 시장을 개척 중인데요. 전통적인 직업 대신 플랫폼에서 돈을 버는 새로운 긱 이코노미 서비스들... TitleMax.com이 정리한 이 인포그래픽은 그런 긱 이코노미가 파..

요즘은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앱이 많아졌죠. 뜻은 있는데 방법을 몰라서 뜻을 제대로 펼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니까요. 한화가 기부나 봉사활동을 하고 싶은 사람들과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이어주는 불꽃(Bulggot) 기부앱을 내놓은 것도 그런 이유가 아닐까 싶은데요. 한화가 보여줄 새로운 사회공헌 사업인 불꽃, 함께 살펴볼까요 누구나 쉽게 참여하고 누구에게나 투명한 모금 플랫폼 불꽃(Bulggot)... 불꽃은 누구나 어렵지 않게 간편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주제와 사회 이슈와 관련된 모금 캠페인이 이미 진행되고 있고, 누구나 좋은 생각만 있다면 쉽게 캠페인을 개설할 수도 있는데요. 전통적인 모금 외에도 사진 참여라는 색다른 방식으로 누군가를 도울 수 있다는 것도 흥미로운데요. 사진으로 참여..

티스토리에서 블로그를 운영하는 분이라면 잘 아시겠지만, 티스토리에는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기능 외에 외부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플러그인이라는 기능이 있죠. 종류도 다양해서 블로그를 이용해 수익을 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구글 애드센스나 다음 애드핏 같은 것부터 코드 문법을 강조해 표시해주는 플러그인 등 다양한 것들이 있는데요. 시지온이 만든 소셜 댓글 라이브리, 댓글 관리와 수익을 함께 노려보실래요? 혹시 그중에 소셜댓글 라이브리(LiveRe)라는 플러그인을 써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이름만 들으면 확 감이 안 올 수도 있지만, 소셜 댓글이라는 이름처럼 라이브리는 카카오톡, 네이버,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 다양한 SNS 서비스의 계정을 이용한 소셜 로그인으로 쉽게 댓글을 남길 수 있도록 ..

투기 자금이 몰려 혼란스러웠던 암호화폐 시장. 여전히 여진이 일어나고 있지만, 조금씩 거품이 빠지면서 그 안에 감춰진 블록체인 기술이라는 진주에 관심을 갖는 분들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는데요. 관련 기술에 대한 높아진 관심만큼 새로운 솔루션을 제시하고 가상세계가 아니라 현실세계에 영향을 끼치려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그렇게 블록체인 기술로 세상을 바꾸려는 이들의 아이디어를 현실화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가 늘고 있죠. 금융 관련 블록체인 쿼럼으로 실력을 겨뤘던 2019 서울 쿼럼 해커톤 대회... 오늘 소개할 건 2019 서울 쿼럼(Quorum) 해커톤 대회인데요. 2019년 8월 9일부터 8월 10일까지 진행됐던 이 행사는 IT 개발자분들에겐 친숙할 해커톤 형태로 열린 이벤트인데요. 해킹과 마라톤..

싸이월드, 블로그에도 배경음악을 깔았던 시절이 있었죠. 그때도 어떤 음악을 깔지 고민해가며 선곡했던 기억이 나는데 동영상이 새로운 콘텐츠 유통 형태로 떠오르면서 배경음악은 새롭게 활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유튜브발 골드러시를 기대하고 뛰어든 크리에이터들이 동영상의 퀄리티를 높이기 위해 더 적극적으로 배경음악을 사용하면서 변화가 시작된 건데요. 완성도 높은 동영상을 위한 화룡정점, 저작권 해결된 배경음악을 깔아볼까요? 문제는 아무 음악이나 썼다가는 저작권 위반으로 기껏 만들어 업로드한 동영상에서 수익을 내지 못하는 상황이 일어나기 쉽다는 것. 아마 유튜브에 기성 가요 등을을 삽입해 동영상을 올려보신 분이라면 몸소 체험하셨겠지만, 똘똘한 알고리즘 덕분에 노래의 일부가 삽입되어도 저작권 침해로 적발되는 경우가 왕..

일상을 공유하고 새로운 소식을 전달하는데 여전히 SNS가 맹위를 떨치고 있습니다. 누군가는 다른 사람의 SNS를 보는 걸로 우울감을 느끼고, 가짜 뉴스를 퍼 나르는 온상으로 악명을 떨치기도 하지만... 사람 사이를 잇는 소셜 네트워크에서 멈추지 않고 정보를 전달하는 소셜 미디어가 되는 SNS 서비스들. SNS, 소셜 미디어 사용 시 알아두면 좋을 단축키 목록들... 여러분은 어떤 서비스를 활용하고 계신지 모르겠지만, Makeawebsitehub.com이 정리한 요 인포그래픽은 아마도 한두 번쯤 써보셨을 그 SNS에서 지원하는 단축키들을 정리해두고 있는데요. 트위터, 페이스북, 텀블러, 유튜브, 링크드인 등의 SNS 서비스에서 활용하면 좋을 단축키. SNS 사용이 많다면 더 유용하게 쓰실 수 있을 거예요~..

팀원들과 업무 할 때 어떤 툴을 사용하시나요? 많은 회사들이 카카오톡을 업무용으로 그대로 사용하시겠지만, 별도의 메신저나 협업 툴을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을 것 같은데요. 이런 협업 툴을 사용할 때도 이모티콘 사용은 필수죠. 긴 말보다 짧게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이모티콘으로 표현할 수 있으니까요.@_@/ 업무 중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도록 도와줄 이모티콘 활용 팁... 협업 툴인 트렐로를 서비스하는 Trello가 정리한 이 인포그래픽은 팀의 생산성을 향상하는데 이모티콘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실제로 많이 사용되는 인기 이모티콘은 어떤 것들인지 등 소개하고 있는데요. 결론은 자신들의 서비스인 트렐로의 홍보에 그치긴 하지만.^^;; 평소 일을 하면서 어떤 이모티콘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돌아볼 겸 슬쩍 ..

애플이 시리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음성을 별도의 안내 없이 모니터링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알려지고 구글이 어시스턴트로 수집한 정보를 모니터링한다는 이유로(최소한의 동의를 받긴 했지만~) 유럽에서 비판에 직면해 있지만... 사람들은 조금씩 음성을 통한 스마트 디바이스 이용에 익숙해져 가고 있습니다. 1인 가구의 증가와 함께 어느새 스마트 스피커와 친구처럼 지내는 이들까지 생겨날 정도로 말동무가 되어주기도 하고 명령에 따르거나 궁금한 걸 찾아주는 음성 인터페이스가 조금씩 대중화되고 있는데요. 구글 음성 검색에 맞춰 내 블로그와 사이트를 최적화시키고 싶다면... 검색에 민감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면 이런 시대적인 변화를 블로그에 반영해두면 좋지 않을까요? Headway Capital이 정리한 이 인포그래픽에..